메뉴 건너뛰기

전주류씨 연원에 관한 설

전주류씨 연원에 관한 설

 

뿌리에 대한 재 정립

  우리 전주류씨는 임진보(壬辰譜) 창간 전에 전릉부원군묘비[춘호공 찬]에는 완산백(完山伯) 휘(諱) 습(濕)을 시조(始祖)로 하였고, 그 상계(上系)는 언급(言及)이 없으나 직제학공 묘비[북천공 찬], 전양부원군 묘비[구봉공 찬]를 건립한 내용을 살펴보면 방직(邦直)과 운(橒)을 시조(始祖)의 조(祖), 고(考)로 기록하였으나 분관설(分貫說)에 관한 기록은 없다.

  그 후 60년이 지나 도계공[휘 심]께서 족보를 창간하여 많은 고심(苦心)을 하신 것으로 보여진다. 족보의 편집내용 첫 기록을 별서(別序)로 한 점과 상계(上系)를 실전(失傳)하여 계대(繼代)를 잇지 못하고 완산백 휘(諱) 습(濕)을 시조로 하여 계대하고 효종3년 임진(壬辰, 1652년)에 출간하여 임진보라 명명한 이래 창간보로서 오늘에 전해오고 있다.

  영조2년 병오(丙午 1726년)에 평창군수 선(選)께서 제2간행본 병오보 출간 시에는 창간보의 머리에 기록한 2대[방직, 운]의 오류(誤謬)됨을 첨정 석창(錫昌), 부사 면(冕), 부사 만(曼) 3숙질이 밝혀내고 있는 것을 범례(凡例)에 변증(辨證)하여 2대를 삭제한다 하고 기록을 빼버렸다.

  점차적으로 후세들은 의문을 갖고 60년 후인 정조10(1786)년에 안동부사 의양(義養)께서 제3간행본인 재병오보(再丙午譜)를 출간하면서도 상계(上系) 2대[방직, 운]은 기록하지 않았다. 고종13년 병자(丙子 1876년)에 부사과(副司果) 남규(南珪)공께서 제4간행본인 병자보 17책을 출간하면서 그간에 소은공(素隱公) 병문(炳文), 호고와공(好古窩公) 휘문(徽文) 형제분이 변증자료로 고려 말 문헌, 목은 이색(李穡) 문고 중 죽계안씨 3자등과(三子登科)축하 시문 중에 있는 전주류씨 극강(克剛), 극서(克恕), 극제(克濟)의 기록을 인용하며 완산백 시조[휘 습]께서 전주로 관향이 정해져 있다는 것을 변증(辨證)하여 범례에 기록하고 있으며, 우왕2(1376)년 문과에 급제한 극제[해동용방 수록]의 부(父)는 습(濕), 관(貫)은 전주로 기록되어 전하고 있다.

  갑자년(甲子年, 1924년) 종사에 참여하여 갑자보를 주관하신 벽(碧)씨는 족보를 출간하면서 남규(南珪)씨가 병자보 간행 때 변증(辨證)한 것을 반증(反證)하고 있다. 이것은 문헌비고를 인용하여 문화분관설을 주장하고 있는데 확실한 증빙자료도 없이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에 약술된 내용만으로 문화분관설을 받아들인 것은 옳지 않다고 판단된다.

  세종5년 계묘(癸卯, 1423년)에 출간한 문화류씨의 족보인 영락보(永樂譜) 서문과 명종20년 을축(乙丑, 1565년)에 출간한 가정보(嘉正譜) 서문 등 두곳 모두 분관설의 기록이 없는 것으로 미루어볼 때 문화분관설과 관련 계대(繼代) 문제나 분관(分貫)문제에 대한 것, 어느 것을 막론하고 확실히 단정 지을 수 없으니 우리 후손들은 하나의 설로만 믿어주기 바란다.

  2001년 신사(辛巳) 4월에 낙봉공(駱峯公) 종중에서는 후손들의 의문점을 해소키 위하여 병자보 간행시의 서문과 수차례 범례에 변증한 것을 역문(譯文)으로 출간하면서 완산백(完山伯) 시조고의 상계는 참고자료를 구할 길이 없어 아쉬움은 많지만 더 이상 논하지 않기로 한 사실이 상기(想起)된다.

  이상의 고찰과 같이 시조 이상의 상계에 대한 역사적인 사료가 아직까지는 추가로 발견된 바도 없고 위의 내용들을 우리의 선대들과 타인의 문헌 속에 단편적으로 기술되어 마땅히 확실한 계대(繼代)를 가늠할 수 있는 근거도 찾을 길 없으니 이번 계미보(癸未譜) 발간을 맞아 시조 완산백 습(濕) 이상의 상계에 대한 추론이나 문화분관설 등을 향후 각파 종회에서 문헌(文獻)이나 금석문(金石文) 등에 사용하지 않는 지혜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 전주 류문(柳門) 최초의 족보 이래로 견지해 오신 선조님들의 뜻에 따라 우리 전주 류문의 뿌리에 대한 논쟁은 더 이상 할 필요가 없어야겠다. [2004년 전주류씨 대동보]

 
위로